-지질
: 물에 잘 녹지 않는 소수성
: 중합체를 형성하지 않음
: 지방, 인지질, 스테로이드 등등
-지방산은 세포에서 중요하고 효율적인 에너지원
외인성 경로: 트리아실글리세롤과 다른 지질 영양소의 흡수 및 체내 조직으로 공급되는 과정
내인성 경로: 간에서 생산된 지질이 체내 각 세포에 전달되는 과정
-외인성 경로
:트리아실글리세롤의 소화와 흡수
1. 식이지방과 담즙염(세제 성질을 띈 양극성 분자) 혼합 된 후, 트리아실글리세롤이 유화된다.
2. 트리아실글리세롤은 췌장 지질 가수분해효소에 의해 지방산과 모노아실글리세롤으로 분해된다.
3. 분해 된 2지방산과 모노아실글리세롤은 창자 세포의 원형질막 너머로 운반된다.
4. 2지방사는 2CoA와 합성해 2지방아실CoA가 되고 모노아실글리세롤과 합성해 트리아실글리세롤로 재합성된다.
5. 트리아실글리세롤과 인지질 및 단백질이 결합하여 신생 유미입자를 형성한다.
6. 신생 유미입자는 림프와 혈액을 돌면서 HDL로부터 2개의 지질단백질 분자를 전달받아 성숙 유미입자가 된다.
7. 대부분의 유미입자의 트리아실글리세롤 성분은 근육과 지방조직의 지방세포에 의해 혈액으로부터 제거된다.
8. 지질단백질 지질가수분해효소는 트리아실글리세롤을 지방산과 글리세롤로 분해한다.
(지질단백질 지질가수분해효소: 유미입자 내 90%의 트리아실글리세롤 제거, 유미입자 잔유물은 간세포에 의해 혈액으로부터 제거)
9. 지방산은 세포에 흡수되고, 글리세롤은 간으로 운반된다.
10. 간으로 운반된 글리세롤은 글리세롤 인산화 효소에 의해 글리세롤-3-인산으로 전환된다.
(글리세롤-3-인산: 트리아실글리세롤, 인지질 또는 포도당 합성에 이용)
11. 잔유 트리아실글리세롤은 라이소자임에서 가수분해 되어 지방산과 글리세롤로 분해되고, 간세포에 의해 바로 대사 되어 이용되거나 나중을 위해 저장
-지방세포에서 트리아실글리세롤의 형태로 저장되는 체내 지방산은 가장 중요한 에너지 공급원
-지방산은 트리아실글리세롤로부터 분리되어 에너지 생성을 위해 분해되거나 합성에 사용됨
ex) 식사 직후에 혈액 내 포도당의 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인슐린이 분비한다.
>>지방산의 유입과 트리아실글리세롤의 저장이 증가된다.
식후에 혈액내 포도당의 농도가 떨어지면, 인슐린 농도는 감소하고 글루카곤의 농도는 증가된다.
>>지방과 근육세포에서의 트리아실글리세롤의 가수분해가 유도되어 트리아실 글리세롤이 글리세롤과 지방산으로 분해된다.
댓글